장주영(내분비 대사내과 의사)
저혈당은 정상 혈당의 최소치 미만으로 혈당이 감소된 상태를 말합니다. 보통 저혈당을 진단하는 혈당값은 70mg/dL 이하인 경우로 제시되지만, 평소에 혈당이 높은 당뇨인의 경우에는 평소 혈당의 절반 정도로만 감소하여도 저혈당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흔히 보게 됩니다.
전형적인 저혈당 증상이 있고, 측정된 혈당이 70 mg/dL보다 낮을 때 저혈당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신경당결핍 증상(집중력 저하, 기력약화, 말하기 힘듬, 의식 혼미 등)으로 인하여 단순 당질을 섭취하는 등 소생 행위를 시행하면서 혈당을 측정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된 후에 신경학적 이상이 호전을 보이면 저혈당에 의해 초래되었던 상황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당뇨병 환자에서 전형적인 저혈당의 증상이 있으나 측정된 혈당이 70 mg/dL보다 높은 상대적 저혈당의 경우도 있습니다.
저혈당으로 인한 증상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항진에 의한 자율신경계 증상과 뇌의 포도당 결핍에 의해 일어나는 신경당 결핍 저혈당 증상으로 구분됩니다.
자율신경계 증상으로는 발한, 공복감, 저림, 떨림, 심계항진, 불안 등이 있고 신경 저혈당 증상으로는 시야변화, 혼미, 이상행동, 허약감, 열감, 현기증 등이 있습니다.
자율신경계의 증상은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짧은 환자 즉 저혈당의 경험이 적은 환자에서 나타나고 저혈당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면 이러한 증상에 대한 반응 정도가 떨어져 저혈당을 느끼지 못하는 저혈당 불감증이 발생됩니다.
인슐린으로 치료 중인 당뇨병에서는 고인슐린혈증이 초래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주로 인슐린 과용량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는 인슐린 주사량, 주사시간과 인슐린 형태의 착오, 식사량이 적거나 식사를 거르는 경우, 운동과 같이 포도당 사용이 증가한 경우, 알코올 섭취와 같이 간 포도당 방출이 저하되는 경우, 운동, 체중저하 및 야간에 인슐린 예민도가 증가하는 경우, 신부전에서 인슐린 대사속도의 감소 등입니다. 이외에도 제1형 당뇨에서는 저혈당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서 동원되는 혈당 상승 호르몬인 글루카곤, 에피네프린 등의 동원에 문제가 생겨 혈당 상승이 더디고, 저혈당에 대한 감지능이 떨어지게 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초기의 제1형 당뇨병에서는 드물고 제1형 당뇨가 10년 정도 경과하면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제2형 당뇨에서는 일반적으로 저혈당은 드물지만, 설폰요소제 나 인슐린 분비촉진제 혹은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흔히 유발됩니다.
저혈당은 신체 기능저하, 심리사회학적 문제, 사망 등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신체기능저하는 가벼운 불쾌감에서부터 행동장애, 감지기능저하, 발작 및 혼수상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신경장애의 후유증은 저혈당의 정도와 지속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중증 저혈당이 아닐 때는 포도당 또는 탄수화물을 섭취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주스, 음료수, 사탕 등으로 해결되는데, 15~20g 정도의 단순당질이면 됩니다.
단순당질 15~20g 섭취하면 혈당을 급격히 올려 주지만 2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바로 식사를 하거나 식사시간이 멀었다면 추가로 복합당질(예 : 우유 1컵 +사과 1/2개)을 먹도록 합니다. 입으로 섭취하기 어려울 때에는 즉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만약 가정에 글루카곤이 있다면 1mg의 글루카곤을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합니다.
인슐린으로 치료 중이거나 설폰요소제(예 : 글리벤클라마이드나 클로르프로파마이드)를 사용하는 제2형 당뇨인에서 저혈당이 자주 발생하면 주치의와 상의하여 당뇨약의 용량이나 종류를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입원하여 치료약물의 조정이 필요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