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증의 치료방법 | ![]() |
우울증센터 |
---|
우울증의 치료방법
우울증에는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항우울제를 이용한 약물치료, 정신치료, 광치료, 전기경련요법, 경두개자기자극법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약물치료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울증의 80-90%에서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이전의 생활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이고 재발을 막는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울증 약물치료(Pharmacotherapy)
1952년에 결핵약에서 우연히 우울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밝혀지면서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물이 개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물을 항우울제라고 하는데, 1세대 항우울제 이후에 2세대를 거쳐 3세대 항우울제가 개발되었습니다. 2006년에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약 6위와 10위를 항우울제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표 5).
표 5. 2006년에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약물
순위 | 약물이름 | 적응증 | 판매액 | 작년과의 차이 % |
---|---|---|---|---|
1 | 리피토 | 고지혈증 치료제 | $6,577,810 | 4.1% |
2 | 넥시움 | 궤양치료제 | $4,060,286 | 18.1% |
3 | 프레바시드 | 궤양치료제 | $3,305,778 | -0.7% |
4 | 애드베어 디스커스 | 천식치료제 | $3,105,780 | 9.7% |
5 | 싱률레어 | 천식치료제 | $2,460,929 | 17.8% |
6 | 벤라팍신 | XR 항우울제 | $2,246,965 | 1.2% |
7 | 플라빅스 | 항혈전제 | $2,231,825 | -10.0% |
8 | 죠코 | 고지혈증 치료제 | $2,171,312 | -30.1% |
9 | 노바스크 | 고혈압 치료제 | $2,149,017 | 4.3% |
10 | 에스시탈로프람 | 항우울제 | $2,098,794 | 13.5% |
항우울제는 기분을 호전시키고 수면을 개선시키면서도 의존성이나 중독성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효과가 있는 항우울제가 다른 사람에게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의 수는 1995년에 약 19만 명에서 2005년에 59만 명으로 10년 사이에 3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우울증으로 입원하는 환자수도 2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에 대한 치료를 통해서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치료받고 있지 않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의 수는 1995년에 약 19만 명에서 2005년에 59만 명으로 10년 사이에 3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우울증으로 입원하는 환자수도 2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에 대한 치료를 통해서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치료받고 있지 않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항우울제를 표 6에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습니다.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항우울제의 이름이 무엇인지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모양이나 색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표 6. 우울증의 치료에 쓰이는 다양한 약물

※ 약의 모양이나 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우울증 정신치료(Psychotherapy)
우울증 환자에 있어서 성격적인 문제가 있거나 성장과정에서 우울증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정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정신분석은 일반적인 상담과는 다릅니다. 자신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과 느낌을, 그것이 다소 이치에 닿지 않는 느낌이어서 말하기 꺼려지더라도 여과 없이 솔직하게 말하는 자유연상을 기반으로 합니다. 정신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발생한 문제의 핵심이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정상적인 활동을 해 왔으며, 환상과 현실을 적절히 구별할 수 있고, 어느 정도 불안을 감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이 있는 경우입니다.
우울증 광치료(Phototherapy)
우울증 환자 가운데 계절성 우울증이 있거나 밤낮이 바뀐 환자들에게 특히 도움이 많이 되는 치료법입니다. 통상적인 실내조명보다 5-10배 정도 강한 빛(10,000룩스)을 발생하는 라이트 박스를 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빛이 눈을 통해 들어와서 수면-각성 주기를 바꾸어 주고 멜라토닌의 대사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을 호전시키게 됩니다. 수면장애, 시차적응에 문제가 있는 경우, 월경전불쾌장애 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울증 전기경련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전기경련요법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우울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기를 이용해서 인위적으로 경련을 일으켜서 치료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 전기경련요법 이전에 전신마취를 시행하고 근이완제를 투여하므로 전신적인 경련은 나타나지 않고 뇌에만 자극이 이루어집니다. 우울증 이외에도 조증, 긴장증, 정신분열병의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백만 명이 전기경련요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우울증 경두개자기자극법(Transcranial Magnetic Stimultation, TMS)
경두개자기자극법은 자기장을 통해서 우울증에서 기능이 저하되는 뇌의 전두엽에 전류를 유발시켜 우울증에 대해 치료효과를 나타냅니다. 전기경련요법이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전신마취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비해서 경두개자기자극법은 마취가 필요 없습니다. 또한, 머리에 자석을 대는 방법이므로 두통이나 부작용이 유발되는 경우가 적습니다.

우울증에서 입원해야 하는 경우
① 자살이나 타해의 위험이 있는 경우(사고의 위험성) ② 정신증이 동반된 경우 ③ 급격한 증상의 악화를 보이는 경우 ④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⑤ 주위에서 돌보아 줄 사람이 없는 경우 ⑥ 의학적인 진단이 필요한 경우 |
입원치료가 필요하지만 겉으로 보기에 문제가 없으므로 가족들이 입원치료의 필요성을 충분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멀리 떨어져서 사는 자식의 경우에는 부모님의 상태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 미룬다면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으로 인한 영양섭취의 부족으로 인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동반되는 경우는 헛소리를 하고 정신이 깨끗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원은 보호병동, 낮병동 뿐 아니라 우울증 환자가 내과 병동과 마찬가지로 문이 열려 있어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고 신체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입원하기 편리한 개방병동이 있습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으로 인한 영양섭취의 부족으로 인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동반되는 경우는 헛소리를 하고 정신이 깨끗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원은 보호병동, 낮병동 뿐 아니라 우울증 환자가 내과 병동과 마찬가지로 문이 열려 있어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고 신체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입원하기 편리한 개방병동이 있습니다.
우울증 환자의 진료 및 치료과정 중의 어려움
우울증 치료를 며칠 받고 나서는 효과가 없다고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항우울제는 2주 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비로소 우울증상이 감소하고 의욕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즉시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들에 비해서 의존성이 적습니다. 며칠 복용하고 효과가 없다고 중단하면 안 되고, 당장에 효과가 별로 없다고 생각되더라도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꾸준히 약물을 복용하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가족들이 옆에서 약물을 잘 복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우울증 약물을 처방한 대로 복용하지 않고 골라서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울증 치료 약물은 처방한 그대로 복용해야 합니다.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약물만 골라서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물만 고르게 됩니다. 당장 효과가 적더라도 장기간에 도움을 주는 약물들은 빠지게 됩니다. 담당 선생님에게 이야기를 안 하고 약물을 빼고 복용한다면 치료 계획에 혼란이 초래되어서 우울증이 장기화될 수 있습니다.
진료를 기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울증이 있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지 않으려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우울증은 자신의 병을 알리고 도움을 구하는 데서 해결이 시작됩니다. 우울증이 호전된 사람들을 보면 “내가 왜 빨리 도움을 받지 않았을까?”라고 말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됩니다.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서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이 도움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울증으로 진단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울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울증으로 진단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됩니다. 중년기 및 노년기의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보다는 의욕이 없는 것이 주된 증상이 됩니다. 본인 스스로도 우울증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병원들을 다니면서 특별한 진단을 받지 못하고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약물을 많이 복용하고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우울증이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